June 22, 2025
실제 운영 중인 서비스에서 가장 당황스러운 순간 중 하나는 "어? 중복 결제 처리된 것 같은데요?" 라는 제보를 받을 때입니다. 분명히 로직상으로는 문제가 없어 보이는데, 동시에 여러 요청이 들어오면서 발생하는 동시성 이슈는 예상치 못한 곳에서 터져 나오곤 합니다. 저 역시 과거에 서비스 개발 중 이런 동시성 문제를 마주쳤고, Redis를 활용한 분산 락…
May 24, 2025
들어가며 Redis는 빠른 속도와 단순한 구조 덕분에 캐시, 세션 저장소, 실시간 데이터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입니다. 하지만 Redis는 싱글 스레드(single-threaded) 구조이기 때문에, 하나의 무거운 명령어가 실행 중이면 다른 요청도 모두 대기하게 됩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잘못된 명령어 사용 시, …
May 22, 2025
NestJS를 사용하다 보면 DTO를 통해 API 요청 데이터를 검증하거나 변환할 일이 많습니다. 이때 자주 사용하는 두 가지 핵심 라이브러리가 바로 와 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두 도구가 어떤 순서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제가 자주 헷갈렸던 와 의 처리 방식까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1. class-validator와 class-transfor…
March 02, 2025
1. 서버리스란 무엇인가? 서버리스(Serverless)는 개발자와 인프라 엔지니어가 서버 관리의 부담에서 벗어나 애플리케이션 로직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해요. 2014년 AWS Lambda의 출시와 함께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이는 클라우드의 Auto Scaling과 Event-driven 컴퓨팅 기술 발전의 결과물이기도 하죠. AWS S…
February 05, 2025
NestJS 관련된 글을 몇 개 작성했었는데, 최근들어 NestJS에 대해 더 깊이 파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왕 이렇게 된 거 끝까지 극한으로 파헤쳐보려고 한다. 카테고리 자체는 공식 문서 정리, 성능 개선, 오픈소스 기여 등 다양하게 가져가볼 계획이고, 시리즈는 전부 NestJS에 넣을 생각이다. NestJS Deep Dive Repos…
January 19, 2025
AWS Lambda의 Execution Environment 이해하기 AWS Lambda 는 서버리스 컴퓨팅의 핵심 서비스로, 서버 관리 없이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편리함 뒤에는 'Execution Environment(실행 환경)' 라는 개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AWS Lambda의 Execution En…
December 10, 2024
안녕하세요, 저는 가천대학교 동아리 모집 관리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한 이창민입니다. 졸업 프로젝트를 위해 저를 포함한 개발자 4명에서 진행하게 된 프로젝트인데요, 서비스 명은 GACHDONG(가츠동) 으로 프로젝트 심사와 보고서 작성으로 인해 심사를 위한 서비스 구현까지만 진행되었고, 종강 이후 더 다양한 기능을 개발할 계획에 있습니다. 서비스 링크 서…
December 07, 2024
최근 프로젝트에서 백오피스를 만들게 되었는데, React로 Front 구현, **NodeJS(Express)**로 서버 개발을 진행하게 되었다. 백오피스 환경은 전부 무료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싶어, React는 Netlify로 배포를 진행했고 NodeJS는 Koyeb로 배포를 진행했다. React는 성공적으로 배포가 되었지만, NodeJS는 배포 과정에서…
December 02, 2024
JWT란 무엇인가? JSON Web Token (JWT) 는 JSON 기반의 토큰으로, 정보를 안전하고 간결하게 주고받기 위한 기술입니다. JWT는 주로 인증(Authentication) 과 권한 부여(Authorization) 에 사용되며, HTTP 헤더, URI 쿼리 파라미터 등 공간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인증/인가를 위한 방…
December 02, 2024
언젠가 꼭 해보고 싶었던 컨텐츠를 이제부터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요즘 IT 서비스 기업이라면 대부분 테크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더 나아가 다양한 주제로 양질의 컨텐츠를 영상으로도 공개하고 있는데요. 저는 도입 검토를 진행 중이거나 적용해보고 싶은 혹은 새로운 기술들을 학습할 때, 이런 컨텐츠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정말 다양한 기업에서 특정 …